지역별 전기차 보조금지원 대상과 차종과 신청방법 정리
오늘은 지역별로 적용되는 전기차 보조금지원 대상과 차종과 신청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요즘 도로에 보면 확실히 예전보다 전기차를 운전하는 분들이 많아진 거 같습니다. 물론 휘발유아나 경유차들이 더 많기는 하지만 앞으로 전기차들이 더 많아질 거 같아요. 2차전지와 배터리 산업이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고 환경오염과 차세대 에너지산업에서 전기차로 넘어가는 등 새로운 변화가 올 것만 같은 느낌입니다.
보조금지원 대상자
전기차보조금을 지원받는 대상자는 중앙행정기관을 제외한 개인과 법인과 공공기관과 지자체와 지방공기업 등록차량이에요.
참고로 국고 보조금 외 지방보조금을 추가로 지원하고 있는 지자체는 관할 자치단체 내 거주 등 자격조건을 부여받을 수 있어요.
23년도 전기차관련 국가에서 주는 보조금 가격
올해 새롭게 받을 수 있는 보조금은 작년보다 100만원이 줄었습니다. 왜냐하면 지원대상차량이 더 늘어나게 되면서 재정적으로 부담이 된 것으로 보입니다. 대상자가 많아지면 지원금은 줄기 마련입니다
올해 최고 많이 받으면 680만원이에요. 그리고 차량 크기별로 금액대가 달라져요. 초소형은 350만원이 최대이고 소형일 경우 최대로 받는 금액은 400만원이에요. 중대형은 500만원까지 받을 수 있어요.
다만 차량 가격에 따라 지원되는 금액은 달라져요. 5700만원 미만까지는 전액지원되고 8500만원 이하는 50%이며 초과는 0%지급돼요. 고액차량은 못 받는다고 보면 됩니다.
차량 성능에 따라 또 달라집니다. 주행거리가 150km 미만 계수는 0.5로 400km까지 차등적용돼요. 추가인센티브도 있어요. 목표이행보조금으로 기존 70에서 올해는 140만원으로 상향됐어요. 그런데 작년에는 지급됐던 에너지 효율 보조금이 올해는 폐지가 됐습니다. 대신에 신설된 게 2개가 있어요. 하나는 충전 인프라 보조금으로 20만원이고 혁신기술보조금으로 2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지자체별 전기차 보조금
서울 860만원이고 부산 980만원이고 울산 1020만원이고 대구 1030만원이고 인천 1030만원이고 광주 1070만원이고 세종 1080만원이고 경남 거창군 1830만원이며 경북 울릉군 1780만원이며 전남 고흥군 1510만원이며 경남 합천군 1480만원이며 전남 진도 1530만원이에요.
그리고 차량별로 지원되는 국고 보조금은 올려드린 내용을 참고하길 바랍니다. 제조사별로 지원되는 차량이 참 많아서 다 적기가 어렵습니다. 위에 나와 있는 것 외 내가 타고 있거나 새로 구매하려는 차에 얼마의 보조금이 지원되는지 알고 싶다면 지자체에 물어보시면 돼요.
이렇게 지원되는 전기차 보조금은 선착순이에요. 지자체에서 보조금을 지원하기는 하지만 정해놓은 대수가 끝난다면 올해 지원금은 종료돼요. 그래서 앞으로 구매를 할 분들은 하루라도 빨리 신청하시는 게 좋아요. 신차구매를 한다면 자동차 전시장에서 상담을 받고 지원금이 남아 있는지 확인한 다음 구매결정을 하시는 게 좋아요.
보조금은 차량을 구매한 사람이 직접 받는 게 아니고 제조사 또는 수입사가 정부에 보조금을 신청해서 받게 돼요. 차량 구매자는 정해진 자동차 가격에서 보조금을 제외한 금액만 내면 돼요. 신청은 지자체별로 날짜가 다르니 새로 구매하는 분들은 확인을 한 다음에 구매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날짜를 확인했지만 지자체에서 정해놓은 대수가 끝나면 조기마감이 될 수 있어요. 현재 기관별로 보조금 지급관련 내용을 공고했기 때문에 지역에 해당 안 되는 분들은 여러분들이 거주하고 있는 곳 지자체 공고문을 확인하시거나 안내직원에게 물어보시고 가능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라요. 그리고 전기차 보조금을 받고 구매한다면 적어도 2년 동안은 의무적으로 보유해야만 해요. 보유기간 이후에는 중고차로 판매해도 상관없어요. 그리고 보유기간 끝나고 새로운 전기차를 구매해도 다시 보조금을 받을 수 있어요.
여기까지 전기차 보조금지원 대상과 차종과 신청방법에 대해 살펴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