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 회생제동 원리와 장단점 정리
이번 시간에는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회생제동의 원리와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질게요.
하이브리드 회생제동(Regeneration Brake System)
회생은 돌아올 회 回 살 생生 자를 써서 의미 그대로 돌아오게 하여 살린다라는 뜻으로 주행 중 차량의 모터가 발전기 역할을 하게 설계해 바퀴가 회전을 할 때 발생된 운동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여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을 뜻해요.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차나 하이브리드차에 구동 모터를 발전기로 사용하여 감속할 때 잃어버리는 운동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고 배터리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하이브리드 회생제동 장점
1. 연비상승
회생제동은 낭비되는 열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자동차 연비를 높일 수 있어요. 내연기관 자동차는 제동을 위해 브레이크 패드를 이용하여 마찰 제동을 하게 되는데 회생제동을 이용하면 낭비되지 않고 전기에너지로 충전하여 같은 거리를 이동해도 에너지를 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2. 브레이크 패드 수명 증가
내연기관 자동차는 오로지 마찰 제동으로 해야 하는 만큼 브레이크 패드가 닳게 되고 일정 이상 달면 교체해 줘야 하지만 회생제동을 사용하면 그만큼 사용하지 않기에
브레이크 패드를 1.5배에서 2배 더 길게 사용할 수 있어요.
3. 원 페달 드라이빙 가능
가속 페달 조절만으로도 가속과 감속을 조절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고도 정차가 가능해요. 물론 이때는 자동적으로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시켜 정차하는 별도 기능을 활성화 해야 해요.
하이브리드 회생제동 단점
1. 승차감 저하
내연기관 자동차는 타이어와 내부 부품 간의 마찰력으로 자연스럽게 속도가 감소하지만 회생 제동은 일정 속도까지 강제로 줄이기 때문에 울컥하는 느낌이 들 수 있어요. 제조사에서도 승차감이 떨어진다는 문제를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갖은 노력으로 기술고도화를 시도하고 있어요.
2. 브레이크 사용감
기존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응이 되어있는 운전자라면 차량 브레이크를 밟는 느낌이 다르기 때문에 적응하는데 약간 어려움이 있을 수 있어요. 또한 기존 이용했던 브레이크 시스템과 비교했을 때 제동력이 떨어지는 느낌이 있을 수 있어요.
마지막으로 자동차가 저속으로 달릴 경우는 전기 생산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어요.
하이브리드 회생제동은 승차감과 브레이크 사용감에 불편이 있을 수 있지만 자동차의 연비를 상승시켜주고 브레이크 패드 수명을 증가하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갖고 있어요.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차량이 점점 변화를 거치며 발전되고 있는 만큼 여러 가지의 단점들도 개선되기를 기대할 수 있어요.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