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관련

주유시 시동 꺼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봅시다

by 자동차전문가 2023. 1. 18.
반응형

 

주유시시동

이번시간에는 주유 시에 왜 시동을 끄고 주유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볼게요.

위험물 안전 관리법


소방법에서 위험물 안전 관리법으로 바뀌면서 법안에 원동기나 자동차의 경우 주유 시에는 시동을 꺼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고 해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잘 지키고 있지만 법으로 조항을 만들어둔 이유는 화재 때문이에요.

건조한 가을이나 겨울철에 우리 손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 있고 주유소에서 화재가 발생한다면 엄청난 규모의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이에요. 셀프 주유소에 정전기 패드가 준비되어 있는 것도 정전기 발생을 막기 위한 2차 안전장치라고 보시면 되겠어요.

혼유 사고 방지


혼유는 경유차에 휘발유를 넣거나 휘발유차에 경유를 넣는 경우를 말해요. 보통 운전자의 부주의 인한 실수로 발생합니다. 이를 막기 위해 주유구 크기가 다르다고 하는데 디젤은 가솔린 주유 건이 들어가기 때문에 혼유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해요. 경유차에 가솔린을 넣게 되면 시동이 켜졌는지 꺼졌는지에 따라 완전히 달라진다고 해요.

시동이 꺼진 상태라면 단순히 기름 탱크만 비워내 세척하기만 하면 되지만 시동이 켜진 상태라고 한다면 연료라인 전체 세척에 엔진 세정 후 할 수 있는 점검과 조치를 모두 받아야 하기 때문이에요.

경제적 손실 방지


주유를 하는 동안에 시동이 걸려있다고 한다면 엔진은 계속해서 작동하게 되고 기름을 사용하게 돼요. 기름을 넣는 짧은 시간 동안 사용 중인 기름의 양의 경우 80cc 가량 된다고 해요. 엔진의 공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와 소음 및 대기에 대한 오염 문제가 심각해 법으로도 엔진 공회전을 금지하도록 하고 있어요.

과태료 부과


엔진을 켠 상태에서 주유를 하다가 적발이 된다면 위험물 안전 관리법 위반으로 과태료가 부과된다고 해요. 과태료 부과 대상은 주유를 한 사람에게 부과되는 것이 아니라 주유소를 운영 중인 대표에게 부과된다고 해요. 자기에게 부과되는 벌금이 아니라고 해서 신경 쓰지 않고 시동을 켠 채 주유를 하는 이기적인 행동을 하는 사람은 없을 거예요.

화재사고 관련 책임 유무


엔진을 켜둔 상태로 주유를 하다 부주의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사고에 대한 책임은 운전자가 지게 돼요. 직접적인 불씨가 없었던 상황이라 해도 주유소 특성상 위험 물질을 보관하고 있는 장소이기도 하고 기름을 넣는 중에 유증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해요. 시동을 껐다가 켜는 게 번거롬고 귀찮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가는 큰 화재나 폭발로 이어지게 될 수 있어요.

오늘은 주유 중 시동을 꺼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봤어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