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자율주행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 서울 청계천에 자율주행으로 시범운영 중인 전기 자율주행 버스를 아시는지 궁금합니다. 완전 자율주행으로 시범운행 중입니다. 자율주행에도 단계가 있습니다. 이 단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단계인 비자동화
차량의 방향 및 속도 조절을 포함한 모든 기능을 운전자가 직접 제어하며 책임지는 단계를 뜻하며 수동운전이라고도 해요. 자율주행이 탑재되기 이전의 모든 차량이 여기에 속한다고 보시면 돼요.
이제 자동차 자율주행 시스템의 5가지 단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단계. 운전자 보조 기능
운전자 보조와 차선이탈 경보와 크루즈 컨트롤이 적용되는 단계예요. 크루즈 컨트롤이란 일정 속도까지 가속을 한 후 시스템 작동 시 가속 페달을 밟고 있지 않아도 지정된 속도로 차를 주행할 수 있는 기능이며 최고 속도 180km/h까지 설정할 수 있다고 해요.
2단계. 반 자율주행 기능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며 전방 주시와 주행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예요. 하지만 이 기능들은 특정 상황에서만 작동이 가능해요.
3단계. 조건부 자동화 단계
자율주행 기능이 작동하는 동안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하지 않은 단계예요. 자율주행 자동차의 초기 단계라고 말하는 3단계는 운전에 필요한 기능들이 자율 운전으로 구현되긴 했지만 자율주행 시스템이 특정 기능을 요구할 경우 바로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하기 때문에 운전자는 운전에 대한
준비가 항상 되어있어야 해요.
4단계. 고도 자동화 단계
이 차량부터 사전적 의미의 자율주행기능이 완성된 상태라고 볼 수 있어요. 4단계에 해당하는 차량은 운전자의 개입이 없는 수준으로 운전자가 목적지만 설정하면 되는 정도의 수준을 의미해요.
5단계. 완전 자동화 단계
사람의 개입이 전혀 필요하지 않은 자율주행 자동차로 어떤 조건 속에서도 자율주행이 가능한 단계를 의미해요. 이 단계부터는 운전자의 개념보다는 탑승자의 개념이 적용돼요. 그렇기 때문에 주행을 위한 페달이나 스티어링 휠 등의 장치들이 사라지고 오롯이 탑승자의 편의를 위한 실내가 구현될 것으로 예상돼요.
여기까지 자율주행 단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자동차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브리드 회생제동 원리와 장단점 정리 (0) | 2023.08.15 |
---|---|
지역별 전기차 보조금지원 대상과 차종과 신청방법 정리 (0) | 2023.07.26 |
자동차 가죽시트의 종류와 가죽시트 클리너 사용법 (0) | 2023.03.30 |
오픈카 종류 이름으로 알아봅시다 (0) | 2023.03.23 |
운전자가 알아야 하는 교통사고 대처법 (0) | 2023.01.23 |
댓글